참고문헌
-박순성. 1,2차 북핵위기와 한반도, 동북아 질서 변화. 민주사회와 정책연구(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08, (13), 101-123.
-김보미. 북한 핵프로그램의 시작과 성장: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통일연구원) 2019, 28 (1), 183-208.
-정형곤, 방호경.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 효과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헤이젤 스미스. 대북제재와 식량불안:향후 국제사회의 공공정책 방향은?. [KDI] 북한경제리뷰(한국개발연구원) 2021.
-김영훈. 2010.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 식량지원. KERI 북한농업동향12, no.2:3-19
-김동성.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한반도 위기.이슈&진단(경기연구원)2017,(291),1-37.
-이승용.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 목적과 미국의 대북 핵 정책 분석:오바마 행정부부터 트럼프 행정부까지."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0. 서울
-박지웅.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 변화 연구: 과정과 요인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경상남도
-조명철, 김지연, 홍익표. 핵 포기 국가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개발 지원경험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