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명의로 연금계좌 만들어서 입금을 해주고 있는데 그럼 증여세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운용수익에 대한 세금도 궁금해지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자녀 증여에 관한 모든 것! 알아보겠습니다.
*게스트 : 성진향 세무사 (미래에셋증권 연금컨설팅팀)
*진행 : 오은미 팀장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00:52 Part 1. 증여 vs 상속, 어떻게 다르고 무엇이 유리할까?
01:12 Q. 부모가 자녀 명의 연금저축 계좌에 현금 이체 후 금융상품에 투자하면 증여가 되나요?
01:41 Q. 증여의 개념을 상속과 비교해서 설명해 주신다면?
02:31 Q. 부모가 많이 모아서 상속하는 것보다 미리 자녀에게 증여하는 것이 나을까요?
04:09 Q. 금전 외에 증여 가능한 재산은 어떤 것이 있나요?
04:26 Q.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하는 경우에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05:02 Part 2. 증여세 신고, 언제 어떤 경우에 하나요?
05:15 Q. 증여세 공제 기간 및 금액 한도는 어떻게 되나요?
05:56 Q. 10년간 2,000만원, 20세 이후에는 5,000만원이라고 하던데 정확한 기준이 궁금합니다. 첫 증여를 기준으로 향후 10년인지 아니면 매 10년 (1살, 10살, 20살) 기준으로 10년인지요?
가령 5살에 500만원을 증여했으면 10살까지 1,500만원을 더 증여할 수 있는지, 15살에 500만원 증여했으면 20살에 4,500만원 증여해도 될까요?
07:48 Q. 아이가 조부모님에게 받은 용돈들도 아이 계좌에 입금시 기록해야 할까요?
08:38 Q. 증여세 신고 기한이 어떻게 되나요? 기한 내 신고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09:35 Q. 자녀 계좌에 이체한 금액이 공제 한도를 넘지 않는 경우 증여세 신고를 하지 않거나 늦게 해도 괜찮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