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의 대표작 '가시리'입니다.
학국 문학의 전통적 특질이라 할 수 있는 이별의 정한을 잘 드러내는 작품이기 때문에
문학사를 배우는 단원에 자주 실려 있는 작품입니다.
🌟'이별의 정한'이 나타나는 작품의 계보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황조가, 정읍사
⬇️
고려가요: 가시리, 서경별곡
⬇️
한시: 송인
⬇️
현대시: 김소월의 진달래꽃
🌟가시리의 정서 추이
안타까움, 원망(1연)➡️좌절, 원망의 고조(2연)➡️감정 절제, 체념(3연)➡️재회 소망, 기원(4연)
🌟이별에 대처하는 자세
소극적, 순응적, 순종적, 체념적, 자기희생적, 슬픔 인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