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항공기상청 | 수치예보의 이해

항공기상청 저기요! 895 lượt xem 2 years ago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항공기상청 저기요!

안녕하세요, 항공기상청 예보과입니다.
이번 교육주제는 '수치예보의 이해'입니다.

저고도 항공기상정보에는
날씨를 예상하는 그림자료들이 함께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 자료들을 수치모델자료라고 하는데요,

수치모델자료가 어떻게 생산되고
또 이 자료들을 어떻게 해석하면 되는지
저고도 운항자분들께서 가장 궁금해하실만한 내용들로 담아보았습니다.

저고도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늘 안전운항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0:00 수치예보의 이해
00:33 목차
02:33 기상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치모델 종류와 특징
04:54 저고도 항공기상정보의 수치모델자료
08:51 수치모델자료의 오차
(유튜브 자막을 활성화시키면 자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착빙 예상도 설명 수정
착빙예상도에서 강도에 따라 채색을 달리한다(X)
착빙이 일어나는 대기상태에 따른 분류이다(O)
ex) 하늘색(U, 불안정형): 기온 0도이하 -20도 이상, 습도 -56%이상
파란색(F, 어는비): 기온 0도 이하, 습도 80%이상
따라서, 채색된 부분 모두 착빙이 예상되는 구역이지만 강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수치예보모델 자료동화과정 보충설명
'자료동화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추가하겠습니다.

자료동화과정은 전처리과정이라고도 불리며, 수치모델의 계산을 위한 초기조건을 만들어 내는 과정으로 수치예보모델을 수행하는 데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수치모델의 초기값으로는 관측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모델의 모든 격자점에서 관측이 이루어지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 관측값에도 여러가지 오차를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관측자료를 수집하고 품질검사를 수행하여 직전에 수행한 모델 결과와 잘 혼합한 것을 모델의 초기값으로 만드는데, 이러한 과정을 자료동화과정이라고 합니다. 즉, 관측자료를 이용해 모델이 가지는 오차를 주기적으로 보정하는 작업입니다.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