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진행되면서 환자 수가 크게 증가한 부정맥.
부정맥의 여러 종류 중, 이번 시간에는 ‘서맥’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분당 맥박수가 60회를 넘지 않을 때 서맥이라고 진단하는데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경민 교수님★은
서맥 진단을 받았을 때 한 번은 꼭 병원에 와서 진료를 받길 추천합니다.
서맥은 발생한 원인을 찾아서 진료를 받으면 대부분 해결되는 질환이지만
혹시나 있을, 인공심장박동기가 필요한 분들을 찾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서맥의 기준과 증상부터 인공심장박동기에 대한 궁금증까지, [닥터트루스] 서맥 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0:00 👉 INTRO
01:10 👉 분당 맥박수가 어느 정도일 때 서맥이라고 진단하나요?
03:56 👉 서맥일 때 어떤 증상이 나타나면 주의해야 하나요?
05:38 👉 서맥이 생기는 원인은 뭔가요?
08:40 👉 인공심장박동기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10:35 👉 선이 없는 인공심장박동기가 있다던데요?
11:27 👉 인공심장박동기의 배터리는 얼마나 오래 가나요?
12:19 👉 인공심장박동기를 넣고 공항 검색대를 통과할 수 있나요?
❤️ 좋아요, 구독, 알림 설정은 필수!
❤️ 심장, 뇌, 혈관에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전문의들이 ‘진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삼성서울병원 #닥터트루스 #심장뇌혈관병원 #권현철 #박경민 #서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