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조선편 #422] 함흥으로 간 이성계와 이방원의 독단정치 | KBS라디오 20121125 방송
방송일자 2012-11-25
진행자 김석환
연출자 황형선
작가 이상락
출연
초록
* 태종 이방원이 세자로 있으면서 추진한 사병혁파 작업 과정에서 왕실의 친인척이나 일부 대신들이 군권을 반납할 때 그것을 선선히 내놓기를 거부했던 사람들(이거이와 그의 아들 이저)을 즉위 후 가차 없이 숙청해버리고 고려시대 이래 어수선하게 흩어져 있던 군권을 중앙으로 일원화하는 작업을 진행
* 태종 이방원이 사헌부에서 상소문을 올려 불교에 대해 비판하며 여러 가지 조치들을 시행할 것을 청하지만 상소문대로 시행하기를 주저한 이유
* 태조 이방원과 사관과의 관계
* 태종 원년 6월, 태종 이방원이 내린 교지의 내용
-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에 유배 중이던 회안군(이방간)을 개경으로 소환하겠다는 내용
- 방간의 소환에 대한 대간들의 상소가 심해지자 태종은 방간을 유배지에 안치해둔 채 소환하지 않기로 결정
* 태종 원년 7월 개정한 관제의 내용
* 태종 원년 7월, 태종 이방원과 사간원의 간관 사이에 궁실을 짓는 공사 문제로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 배경
인서트리스트
01 태종이 아버지 태조 이성계의 인정을 받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는 이유/한희숙 숙명여자대학교수 03:05 03:54
02 태조 이성계가 정권안정을 위해 사병을 혁파하고 저항하는 이들을 과감히 숙청해버리는 과정/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한희숙 숙명여자대학교수 12:19 13:50
03 태종 원년 윤3월, 사헌부에서 불교와 관련된 장문의 소를 올리게 된 배경/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15:41 16:23
04 태종이 불교 억압 정책을 시행했던 이유/한희숙 숙명여자대학교수 18:03 18:38
05 태조 이성계가 태종 이방원을 상대로 회수했던 사찰의 토지 환급과 승려의 도첩을 내놓으라 추문하지 말라는 등의 거래를 하게 된 배경/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24:29 25:15
06 태종 이방원이 사관이 곁에 있는 것을 꺼려했던 이유/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28:54 29:45
07 경연장에서만은 사관의 출입을 막지 않았던 이유/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31:40 32:25
08 세종이 아버지 태종에 대한 역사를 어떻게 기록했을 것인지에 대해/한희숙 숙명여자대학교수 36:24 37:02
09 태종 이방원이 유배중인 형 이방간을 불러올릴 생각이 전혀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38:05 38:59
10 태종이 형 이방간을 먼 제주도로 귀양 보내자는 신하들의 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이유/한희숙 숙명여자대학교수 40:58 41:36
11 태종 원년 7월 개정한 관제의 내용과 특징/한희숙 숙명여자대학교수, 유정 진주교육대학교수 44:38 46:24
12 태종 원년 7월, 태종이 이 시기에 궁궐 내에서 대규모의 토목공사를 추진한 배경/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49:29 50:07
13 신하들이 태종의 궁실역사를 한사코 반대한 이유/윤정 진주교육대학교수 50:57 5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