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한국이 시도한 한자 간체화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139,692 lượt xem 1 year ago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중국의 간화자, 일본의 신자체처럼, 한국에서도 공식적인 한자 약자를 제정하려고 한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20세기 어문정책은 국한문혼용과 한글전용의 첨예한 대립 속에서 다양한 담론과 시도를 낳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 번은 지금은 통폐합된 舊 문교부에 의해 진행된 1967년의 두 차례에 걸친 약자 제정, 한 번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통칭 한국어문회, 어문연)에 의한 민간 주도의 신문용 약자 제정은, 결과적으로 실패했지만 현대 한국어사의 대단히 흥미로운 일부입니다. 이 영상은 잘 알려지지 않은 대한민국의 약자 제정사를 역사적인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타임라인〉
0:00 한자 사용의 문제점
1:02 약자를 제정하려 한 이유
2:25 1967년 문교부 약자
4:45 1981년 한국어문회 약자
6:15 조선일보 약자
7:34 약자 파동
9:23 약자 제정의 의의

〈참고문헌〉
・Huisu Yun. 2023. Silla royal villas and Old Korean scribal abbreviations. The Bay of Marifu.
  ↳ https://marifu.hypotheses.org/224
・金斗燦(1981)「「新聞用 略字(試案)」選定 經過 報告」『語文硏究』9(2)
・南廣祐(1970)『現代國語國字의 諸問題』一潮閣
  ↳ 영상 내에서 8분 30초경에 나와야 할 in-text citation이 누락되었습니다. 여기서 정정합니다.
・河永三(2022)「朝鮮末《字書輯要》東俗字與韓國固有漢字」『漢字硏究』14(2)

Artlist는 저작권 걱정 없는 고품질 스톡 영상, 음악, 효과음, 템플릿, 플러그인을 하나의 라이선스로 모두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구독 기간 중에 받은 콘텐츠는 평생 간직하여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구독하시면 추가로 2개월을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s://artlist.io/referral/2169082/bungbungnue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O0OSA5HfdLVrkqUCsNWYnQ/join

웹사이트: https://www.bungbungnue.com
연락: bungbungnue@gmail.com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