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배관 자재 현장용어 정리
실무 혹은 현장에서 쓰는 용어를
제대로 알아듣지 못해 헤맬 때가 있습니다.
카다로그나 제품 설명서에서 쓰이는 용어와
현장에서 쓰는 용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특히 현장용어는 일본어, 영어, 우리말이 뒤섞여
도무지 무슨 말인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가능하면 우리말을 쓰는 것이 좋지만 상대방이
일본어나 영어가 섞인 말을 쓰는 경우도 많으므로
원활한 업무 진행을 위해 잘못된 용어라도 알고는 있어야 합니다.
☆ 전기배관에서 쓰이는 용어를 위주로
우리가 건설 현장에서 많이 듣던 용어들을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1. 인서트(ferrule): 일부 현장에서 '골뱅이'라 부르기도 함.
인서트(Insert)는 일반적으로 고정, 결합, 밀봉 또는
강화에 사용되는 금속제 원형 고리를 뜻하며 영어식 표기는 Ferrule.
전기 배관에 있어서 가요전선관을 연결시에
인서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
※ Ferrule : (우산, 지팡이의 끝 부분에 끼우는 쇠나 플라스틱으로 된) 덮개, 물미
2. 부싱(Bushing): 붓씽, 부씽, 붓싱 혹은 붓싱구로 부름.
부싱(Bushing)이란 금속관 부품의 하나로, 강제전선관 끝부분에 설치하여
전선의 인입, 인출을 하는 경우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사용 장소에 따라 금속제 부싱과 절연성의 부싱이 있음.
3. 엔트런스 캡(Entrance Cap): 위샤캡, 워샤캡, 와샤캡 등으로 부름.
인입구(service entrance)
서비스 헤드(Service Head) 건물 외부 배관을 통한
전선의 인입, 인출이 용이하게 하는 터미널 캡.
4. 평카바(Flat Cover, Blind Cover): 후다 (ふた)뚜껑, 덮개,
蓋덮을 개, 후다(ふた)의 뜻은 표, 팻말
5. Conduit Outlet(Condulet): 곤지레다
※ universal conduit elbow 또는 universal conduit body 라 부르며,
현장에서는 곤지레다(AL 곤지레다)라 통칭되는데
도관을 뜻하는 Conduit Outlet(Condulet)의 변형으로 추측됨.
6. C형 행거(C Type Hanger): 악어이빨
7. 전산볼트(Full Threaded Bolt): 마루보(まるぼう)
※ 丸棒(환봉) 원형봉, 둥근 막대기라는 뜻
- 상부 (さん) 部(ぶ)부: 삼부, 산부로도 불림 9.525mm
- 욘부 (よん) 部(ぶ)부: 연부, 용부로도 불림 12.7mm
※ 나사산(The Crest of a Thread): 야마 山(やま) 톱니, 나사산
crest: 산마루, 정상 / root: 나사골
8. 홀드 다운 클램프(Hold Down Clamp): 혓바닥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음.
트레이 행거 고정시 사용.
9. 플러그(Plug): 메꾸라, 메구라 盲(めくら) blind의 본뜻이 있으나
마개, 덮개의 의미로 쓰임.
10. Knob Insulator(노브 애자): 놉부애자, 노뿌애자, 로프애자 등으로 불림
※ knob: (기계에 달린 동그란) 손잡이, 혹, 마디
11. 커버부싱(Cover Bushing): 자재 부쉬 혹은 모양 때문에 지네발로 부름.
※ Bush: 관목, 덤불의 본 뜻이 있으며 [전기]부싱(Bushing)의 역할로
관 끝에 두어 전선의 인입, 인출을 하는 경우 전선의 절연물을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
판넬이나 철판 타공 후 날카로운 부위를 감싸 전선을 보호.
이외에도 우리말로 번역되거나 통일되지 않고 쓰이는
현장 용어들이 많이 있습니다.
혹은 한글화가 안 되어 영어 그 자체 명칭으로 쓰이는 부속은
발음 자체만이라도 일본식 발음(F를 ㅎ으로 발음하는 경우 등)을 지양하고
올바른 발음과 표기가 정리 된다면 전기배관 업계에서만이라도
통일성을 이룰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어로 된 명칭은 영어로 표기하고
우리말로 고칠 수 있는 것은 고쳐서 사용하고
순화하려는 노력이 있으면 조금 더 편리하지 않을까요?
더불어 같은 제품이나 부속을 놓고도 서로 부르는 용어가 달라서
혼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서라도
조금 더 명확한 용어사용과 우리말 사용이 정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대봉이었습니다.
◎ 기타 현장용어 참고
○ 나사: 네지(ねじ)
○ 도금: 매끼/ 맥기/ 멕기(鍍(めっき))
○ 스테인리스 스틸(STS): 서스(SUS, サス), 스텐/ 스덴/ 스뎅 Stainless의
일본 표기인 ステンレス의 줄임말로 일본 발음은 '스텐'에 가깝다.
○ 황동, 놋쇠: 신주, 신쭈(真鍮(しんちゅう))
○ 호출선: 요비선(呼び出し線(よびだしせん)), 전선 입선시 관속에
호출선을 넣어 전선을 끌어당김
○ (절삭) 플라이어, Pinchers, Cutter Pliers: 펜치(ペンチ)
○ 패널(panel), 전시판, 배전반: 판넬/ 판네루(パネル)
○ 나사못: 피스/ 비스(ビス)
○ 박스(Box): 복스, 뽁스
○ 앵커(Anchor,닻) Bolt: 앙카(アンカー), 세트앙카, 스트롱앙카, 드롭인앙카
○ Coupling(커플링): 캬프링
○ Junction Box: 정션복스, 정숀복스
○ Reducer: 레듀샤(レジューサー)
○ Connector: 콘넥타
○ 줄눈: 메지 目(め)地(じ)
○ 꽂이쇠, 콘센트: 사시꼬미 差(さ)し입(こ)み
※ 콘센트: 플러그를 끼우는 곳을 일컫는다.
현재는 순화어로 일상 생활에서 많이 쓰이고 있으며,
220V용 콘센트는 일명 '돼지코'로 불리기도 한다.
'벽면 등에 설치한 플러그를 꽂는 곳'을 뜻하는 일본식 조어.
콘센토(コンセソト, concentric plug)에서 유래한 말임.
콘센트(Concent; 일치하다 혹은 Consent;동의, 합의하다)
영어로는 (wall) socket, (electrical) Outlet(미), power point(영)로 표기
승압( 升壓): 압력을 높이는 작용으로 전기, 전자에서는 변압기로
전기의 전압을 높게 변환시킨다는 의미이나, 콘센트를 일컫는 말로
쓰이고 있음.
○ 미터 m/ 밀리미터 mm: 메다, 미리
○ 설치하다: 취부하다
※ 취부(取付): 달다, 장치(설치)하다라는 일본식 한자어
취외(取外): 떼다, 빼다, 분해하다라는 일본식 한자어
★ 편집 : 박영미
=========================================
(주)대봉이엔지는 1978년부터 40여년간
'전기배관자재'만을 고집해 온 전문업체입니다.
건축물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전기의 흐름은
그 혈관인 배관을 통해 완성된다는 믿음으로
부단한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높은 품질, 더 다양한 제품으로 고객 여러분들과
산업현장에서 만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대봉 카카오톡 채널 플러스친구
http://pf.kakao.com/_xaxdExbxb
▶ 대봉 홈페이지
http://www.daebong19.co.kr
고객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언제든지 '묻고 답하기'에 남겨주세요.
▶ 상담전화
031-572-7881 (월~금 / 08:30 ~18:30)
궁금한 사항은 영업부에서 친철하고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