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에서 고려가요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형식의 문학, 정서의 정과정입니다.
✅향가의 잔영: 3단 구성, 낙구의 감탄사, 8~9행을 한 행으로 보면 10구체 향가와 비슷함
✅고려시대의 노래이나 고려가요와는 다른 점: 작가가 전해짐(고려가요는 대다수 작자미상), 분연이 되어 있지 않고 후렴구가 없음
여성 화자를 설정하여 임금에 대한 충절을 임과 이별한 여성의 사랑에 빗대어 노래한
충신연주지사로, 후대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자연물(접동새)에 감정 이입, 자연물(잔월효성)에 기대어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는 특징을 꼭 기억해 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