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일자 2010-04-04
진행자 김석환
연출자 임종성
작가 이상락
출연
김두용,임정길,윤호,이찬우,배정우,홍수정,이희탁,조연철,최현철,한복현,백경훈,지화정,김소희,안찬이
초록
* 1219년 9월, 최충헌이 병이 나자 모든 직을 사양하고 물러남
* 최충헌이 맏아들인 최우에게 권력을 넘기려 하면서 우려했던 것 (자신의 측근들이 최우에게 권력이 넘어가는 것을 구경만 하고 있지 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우려)
* 최충헌의 권력이 아들 최우에게 이양되는 것을 방해하고 나선 핵심 인물 최준문의 인물 분석
* 최우를 죽이고 최충헌의 막내아들 최향을 대신 내세우려 했던 최준문 등의 반란이 실패하게 되는 과정
* 24년 동안 고려 조정의 권력을 좌지우지해왔던 최충헌 사망에 대한 고려사절요의 기사 내용
* 고종 6년 1219년 10월, 의주 병장 한순과 다지가 반란을 일으키게 되는 배경
* 최충헌이 죽자마자 의주지역에서 맨 먼저 반란이 일어난 이유
* 최우는 13명에 이르는 고위 관리들을 섬으로 귀양 보낸 의도
* 의주의 반란세력이 북쪽 변방의 여러 지역을 접수하여 세를 넓혀 갈 수 있었던 배경
* 새로운 권력자로 등극한 최우가 취한 눈에 띄는 조치들 내용과 최우가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을 취하게 된 배경
* 반란을 일으킨 한순과 다지가 동진국에 투항하고 금나라 원수 우가하를 끌어들이게 된 배경
* 고려 조정의 반란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
- 고려군 진영에서 금나라 장수 우가하에게 보낸 편지 내용
- 고려군 진영으로부터 편지를 받은 우가하의 반응
- 우가하는 반란군 일당을 모두 죽이고 고려조정에 협조
* 1220년 3월, 우리 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이인로 사망 관련한 고려사 기사 내용
인서트리스트
01 병중에 있던 최충헌이 맏아들 최우에게 권력을 넘기려하면서 어떤 점을 우려했기에 아들에게 문병을 오지 말라고 했는지를 분석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06:23 07:03
02 막강한 일인독재체제를 구축하고 있던 최충헌이 아들에게 권력을 이양하려 하면서 노심초사 하는 이유를 분석하는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07:29 08:15
03 최충헌의 측근 심복들이 최우의 권력승계를 반대하고 나선 배경을 설명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13:37 14:31
04 최준문 등이 최우를 죽이고 옹립하려 했던 최충헌의 막내아들 최향은 그들의 모의에 가담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하는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16:30 17:10
05 고종 6년 서기 1219년 10월, 의주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난 배경을 설명하는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21:12 22:35
06 최충헌이 죽자마자 의주지역에서 맨 먼저 반란이 일어난 원인을 분석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23:10 23:56
07 의주의 반란세력이 북쪽 변방의 여러 지역을 접수하여 세를 넓혀갈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하는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27:37 28:25
08 의주에서 일어난 민란이 지역범위를 넓혀서 규모가 커지고 시간적으로도 오래 지속될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29:53 30:41
09 새로운 권력자로 등극한 최우가 아버지가 모아 두었던 금과 은을 비롯한 진귀한 기호 물품을 왕에게 바치는 등 눈에 띄는 몇 가지 조치를 취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는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33:16 34:36
10 최충헌 생존 시 아들 최우와 일정부분 갈등이 있었을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35:02 36:21
11 한순과 다지가 북방에서 반란을 일으켰을 당시 중국대륙에 세력변화 상황을 설명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39:04 39:55
12 반란을 한순과 다지가 몽골의 속박에서 벗어난 동진과 금나라 장수로 독자적인 세력을 이끌고 있던 우가하 세력까지 자기편으로 만들어 고려의 관군에 대항하게 된 상황을 설명하는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40:16 40:57
13 금나라 원수 우가하가 반란을 일으킨 한순과 다지를 도와주다가 고려조정에 협조하기로 마음을 바꾼 배경을 설명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47:23 48:02
14 금나라의 우가하가 고려의 반란군과 손을 잡았다가 고려 조정에서 파견한 진압군에 협조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는 김호동 영남대국사학과교수 48:41 49:18
15 무인정권 시기 문신들이 받은 피해와 최충헌 정권 이후 문신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게 되는 배경을 설명하는 이익주 서울시립대국사학과교수 51:47 5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