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다이오드와 전기3대 소자(저항,코일,콘덴서)

김정곤 TV 24,154 lượt xem 4 years ago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콘덴서에 정말 전하가 충전 될까요?
실무적인 차원에서 증명을 해봅니다.

* 아래 내용은 구독자 "배움님"의 댓글 입니다.
@김정곤 TV 먼저 고수님 방송에 저같은 초보가 선생님 강의에 의문(?)을 가지게 되어서 송구 스럽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수준을 이야기 드려본다면 다이오드는 정류부분 실리콘(약 0.7V)과 게르마늄(0.3V) 턴온 전압을 사용하는 다이오드가 있는것으로 압니다. 말그대로 순방향 일때는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일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말그대로 스위치 인것이죠) 단품 측정을 가정으로 말씀드립니다. 이렇듯 순방향(애노드)에 턴온 전압을 걸어줘야 만이 캐소드로 전류가 통하는 걸로 압니다. 지금 측정하신 순방향이라고 체크 하셔서 얻은 값은 O.L(Open loop) 약어로 그냥 단선된 값을 나타내어 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냥 클램프미터를 저항모드에서 켜놓기만 하고 아무것도 연결을 하지 않아도 나오는 값으로 압니다. 그리고 띠가 있는쪽이 캐소드(-) , 띠가 없는쪽이 애노드(+) 이라고 알고 있고, 이때 순방향은 애노드(+)를 주고 캐소드(-) 를 주는것이고, 역방향은 그반대로 압니다. 결론은 다이오드의 띠 부분 설명이 반대로 되고, 저항모드에서 순방향 이라고 측정하신(지금 영상에서는 반대로 설명이 되었지만) 부분 에서는 턴온 전압이 없으므로 무한대가 나와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선생님 강의에서 처럼 릴레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 코일이 여자되지 않은 상태 라고 생각합니다)쓰시는 클램프미터에 다이오드 체크 부분이 있었으면 측정을 하시는데 오류가(저의 생각입니다) 없었을것 같았습니다. 저의 생각이므로 혹여 틀린 부분이 있으시면 지적 해주시면 공부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며칠전 부터 선생님 강의를 보게 되었는데 도움이 많이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