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문화대혁명보다 더했다고? 중국 따라하다 자국민 4분의 1이 사망한 캄보디아 희대의 대삽질, '킬링필드'

별별역사 285,781 lượt xem 7 months ago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참고문헌]
-Yeob, K. D. (2014). Rethinking the “Killing Field” of the Democratic Kampuchea Regime on Nationalism. 21세기정치학회보, 24(3), 657-684.
-Kiernan, B. (2006). External and indigenous sources of Khmer Rouge ideology. In The Third Indochina War (pp. 195-214). Routledge.
-권태인, 「캄보디아 격동 100년사」, 서울: 문예림, 2008.
-권태인, 「힘센•훈센」, 서울: 문예림, 2008.
-필립 쇼트, 이혜선(역), 「폴 포트 평전」, 서울: 실천문학, 2008.
-부경환, 「‘킬링필드’의 기억과 재현」, 『서울대학교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이길자, 「캄보디아 킬링필드에 대한 미국의 정책과 책임에 대한 담론」, 『민주평화연구』 제1권 2호, 2018.
-최청호, 「캄푸치아紛爭의 原因과 經過」, 『베트남의 정치경제와 국제관계』, 1987.
-이정복, 「인도차이나 3국의 政府와 政治」, 『동남아정치론』, 1983.
-문영희, 「엘리스 픙의 ‘그녀의 아버지의 딸’: 아버지를 증언하는 사후기억」, 『영미연구』 제57호, 2022.
-박성관, 「캄보디아의 정치적 파벌과 민주화 과정」, 『동남아연구』 제13권 2호, 2003.
-이기중, 「캄보디아 제노사이드와 리티 판의 영화 프로젝트」, 『현대영화연구』 제29호, 2017.
-조영희, 「크메르루즈 재판을 중심으로 본 캄보디아 과거청산의 정치동학」, 『국제정치연구』, 제14권 1호, 2011.
-송인호, 「크메르루즈 특별재판소 사례를 통해 본 통일 이후의 과거청산의 기본 방향에 대한 고찰」, 『인권과 정의』, 제442호, 2014.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