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String Quartet No.14 in G major K.387 "Spring": I. Allegro vivace assai
07:19 String Quartet No.14 in G major K.387 "Spring": II. Menuetto. Allegro - Trio
14:46 String Quartet No.14 in G major K.387 "Spring": III. Andante cantabile
23:15 String Quartet No.14 in G major K.387 "Spring": IV. Molto allegro
야나체크 콰르텟
1958
"모차르트의 현악 4중주 14번"은 하이든에게 경의를 표하며 헌정한 이른바 ‘하이든 4중주’의 6곡 중 첫 번째 곡으로 1782년 빈에서 작곡되었다. 이 작품의 특징은 3악장에 미뉴에트를 두는 전통과 달리 2악장에 둔 점이며, 부제로 "봄"이란 이름으로 작곡되었다.
모차르트는 이 작품집을 하이든에게 헌정하면서 “나의 가장 사랑하는 친구여, 여기 여섯 아들(6개의 현악 4중주)이 있습니다. 이 여섯 아들이 당신의 총애를 받기를 희망합니다. 부디 관대함을 베풀어 그들을 받아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들의 아버지이자, 스승이자, 친구가 되어주시고, ~ 아버지이기 때문에 보지 못했을 결함을 관대히 보아주시기를 당부합니다.”라고 썼다. 성숙한 모차르트의 엄격한 정신적 긴장을 표현하고 있는 글이다.
이 작품집을 헌정 받은 하이든은 초연에 참관하여,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드에게 “성실한 인간으로 신 앞에서 맹세코 말하지만, 당신의 아들은 제가 직접 혹은 평판으로만 알고 있는 작곡가 가운데 가장 위대한 작곡가입니다. 훌륭한 감각과 매우 뛰어난 작곡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라고 극찬했다.
1악장: Allegro vivace assai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제1바이올린 외 성부들도 주제의 성격이 침투한 대성부로 자율적으로 진행하며 후악절에서는 각 성부로 동기가 나뉘어 진행된다. 경과부는 제2마디의 동기를 카논으로 전개시키면서 발전한다. 제2주제는 예리한 다이내믹과 반음계를 수반하는 제1주제의 긴장에 이어 제2바이올린으로 도입되며, 이때 제1바이올린이 옥타브 위에서 강하게 되풀이된다. 이어 첼로의 리드믹한 반주 다음코데타는 16분 음표의 경쾌한 움직임으로 첼로의 음계가 크게 고조된 후 마친다. 발전부는 제시부와 거의 같은 길이로 제1주제의 즉흥적인 반주로 시작되는데, 비올라에서 발전동기가 나오며, 싱커페이션의 새김을 반주로 조옮김이 계속된다. 재현부는 일반적으로 진행되다가 아주 여리게 마친다.
2악장: Menuetto. Allegro - Trio
제2악장은 미뉴엣이다. 8마디의 규칙적인 리듬에 미묘한 불규칙을 줌으로써 미뉴엣 주제를 드러내는데, 실내악에서 미뉴엣의 의의를 새롭게 하고 있다. 유니즌으로 시작되는 엄숙한 트리오는 g단조로 춤곡의 성격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3악장: Andante cantabile
제3악장은 우아한 세레나데풍의 서정적인 선율과 구별되도록 하였다. 중음으로 시작하는 제1주제는 장중한 오페라 아리아를 연상케 하며, 깊은 화성적 표현이 압권이다. 이어 제1바이올린에서 화려한 선율이 나오는데, 이를 카논으로 시작하며 특이한 분위기를 만드는 g단조의 에피소드가 유니즌으로 연주되면 낮은 음역에서 제2주제가 시작된다. 재현부에서는 제1주제 이후 부분이 발전적으로 확대되어 진행된다.
4악장: Molto allegro
제4악장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지니지만 재현부에 클라이맥스를 두는 정연한 구성은 모차르트의 천부의 자질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제1주제와 제2주제 모두 화려한 부파풍의 경과구를 사이에 두고, 모두 엄격한 푸가의 제시부를 이루며, 제2주제 후반에 두 개의 주제는 2중 푸가 형태로 결합된다. 이 두 개의 푸가 주제에 대해 대조를 이루는 것은(소나타 형식의 의미에서) 밝은 민요풍 코데타 주제이다. 그리고 발전부와 재현부 사이는 명확한 구분이 없으며, 제시부의 과정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제1주제가 회상되면서 조용히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