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딥시크 충격 속 한국 'AI 산업' 현주소 (25.2.6.) | 정관용의 정책토론 | 국회방송

NATV 국회방송 2,225 3 days ago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정관용의 정책토론(99화)에서 「딥시크 충격 속 한국 'AI 산업' 현주소」를 주제로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합니다. 저비용·고성능을 내세운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이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 대비 개발·운용비는 훨씬 낮은데도 수학 등 고급 지적 작업에서 오픈AI의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보이며 미·중 AI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우리나라의 글로벌 AI 역량은 세계 6위이지만 운영환경, 상용화 등의 측면에선 낙제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영국 토터스미디어‘2024년 글로벌 AI 지수’) AI 연구자는 2만명으로 중국의 20분의 1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는 실정입니다.(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하는 정부는 2024년 12월 제정된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안」을 바탕으로 AI 산업 성장을 위한 인프라를 신속히 구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 합작 투자로 2조원 규모의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본격 추진하고, 데이터센터 구축 관련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국회도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은 1월 31일 ‘AI 3대강국 도약 특별위원회’ 긴급 간담회를 열고 AI 관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논의했고,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특별위원회는 2월 4일 긴급 간담회에서 AI 등 과학기술 연구개발(R&D) 관련 추경 편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음 주 초로 예정된 국정협의회에선 여야와 정부가 반도체특별법 등 현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이번 주 방송에서는 차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경진 전 국민의힘 의원, 최경진 가천대 법학과 교수, 최재식 카이스트(KAIST) 김재철AI대학원 교수가 출연해 한국 AI 산업 현주소를 진단하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합니다. -------------------- #AI #딥시크 #인공지능 #AI산업 #AI정책 #미중패권경쟁 #데이터센터 #디지털혁신 #국회방송 #정책토론 #정관용 ◼ 국회방송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NATV_kore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