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봤을 때 인간은 딱 두 종류로 나뉠 것이다. 내가 못하는 일을 하는 인간, 내가 아무 데나 버려도 되는 인간.”(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AI 때문에 편향성이 심해질 수도 있지만 오히려 AI가 필터 안에 갇혀 그 세상만 바라보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을 깨줄 수도 있다. 우연하게 다른 영역을 접하게 만들어서”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AI에이전트 없이는 못사는 시대가 올 것이다. 인간의 편향성이 커진다면 그건 AI 문제 때문이 아니라 그 사람이 개방성을 못갖추었기 때문이다.”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AI시대 인간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김경일‧이준환 교수, 이건복 상무 세 명에게 물어봤습니다. 각자 영역은 다르지만 3명의 고교동창 절친이 합의한 것은 “AI가 아니라 인간이 더 문제”라는 것입니다.
편집: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촬영: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글·자료: 홍재의 기자
진행: 홍재의 기자
섬네일: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http://www.ttimes.co.kr/index.html
▶비즈니스 문의
[email protected]
#AI에이전트 #심리학 #인공지능시대
00:00 하이라이트
01:32 기술기반으로 AI시대의 인간을 예측해서는 안 되는 이유
04:37 AI는 인간 관심사의 양극화를 가속화 시킬까?
06:48 개방성이 AI 시대의 경쟁력
09:22 AI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 교육
11:54 AI에이전트 시대
14:55 AI에이전트에 의존하면 인간은 나약해질까?
19:18 AI는 어떻게 컨트롤해야 하나?
24:05 딥페이크 문제는 어떻게 바라봐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