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사 항목 가이드
(아래 항목 중 많은 것들이 기본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하시는 것은 검진 병원에서 추가해달라고 요청해주세요.)
- 기본 : 간/신장/갑상선 수치, 혈압, 요산
- 심혈관 건강 : 중성지방(TG), 아포지단백B, Lp(a), 기본 콜레스테롤 수치, hs-CRP(고감도 C 반응성 단백), 호모시스테인
- 당뇨 리스크 : 혈당, 인슐린, 당화혈색소(HbA1c), C-펩타이드(췌장 기능)
- (추천) 감마 GTP(GGT) : 높을 경우 간 뿐만 아니라 장내 미생물 문제 있을 수 있음
- (선택) 성호르몬, DHEA
- (알 수 없는 건강 문제가 있을 경우 강력 추천) 모발 미네랄 : 미네랄 균형, 갑상선/부신 기능, 중금속 축적)
- (알 수 없는 건강 문제가 있을 경우 강력 추천) 비타민D
- (알 수 없는 건강 문제가 있을 경우 강력 추천) 유기산 대사균형 : 다량 영양소 대사, 효소 균형, 독소 대사)
- (가끔) 상복부 초음파, 암 표지자, 위/대장 내시경
- (한번쯤) 지연성 알러지
- (심혈관 리스크 높을 경우) 관상동맥CT
📝 심혈관 건강 지표 볼 때 참고하면 좋을 것
- LDL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혈액 속에서 지질 물질을 운반하는 배(지단백질) 안에 담겨 있는 콜레스테롤이라는 '화물'의 양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심혈과 건강 리스크를 보여주는 데 한계가 있어요.
- 콜레스테롤 수치보다 더 좋은 지표는 리스크가 높은 '배'의 숫자를 보여주는 '아포지단백질 B'와 'Lp(a)'입니다. 이것 두 가지가 지나치게 높다면 심혈관 건강에 문제를 의심할 수 있어요.
-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중성 지방 수치를 HDL 콜레스테롤 수치로 나눈 값)을 확인해보세요. 이 숫자가 2이하이면 좋고, 4보다 크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 HDL/총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총 콜레스테롤 수치로 나눈 값)을 확인해보세요. 그 숫자가 0.25 이상이면 좋고, 0.3 이상이면 아주 좋은 것이라 합니다. (운동선수 또는 장수하는 노인들은 0.3이 넘는다고 합니다.)
- 그렇다고 해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도 무조건 괜찮다는 뜻도 아니고 약물적 개입이 무조건 나쁘다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은 혈액 속에 있는 물질의 양을 가지고 심혈관 건강을 '추론'하는 것입니다. 만약 심혈관 건강 리스크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분들은 관상동맥 CT나 안저혈관 촬영, MRI(뇌, 경동맥) 등을 검사해보는 게 한번쯤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상태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 여러가지 지표들을 보면서 실제 상황을 정확하게 보는 게 안전하며, 이 이슈를 편견 없이 이해하고 있는 의료 전문가의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아직 전통 의학에선 제대로 못 보고 있던 내용이라서 이런 문제를 가진 분들은 '아직까지는' 기능의학쪽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게 나을 수 있습니다.)
🧑⚕️ 김경철 원장님의 웰케어 클리닉에서 검진을 받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 검진 상담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 https://bit.ly/WCCXGyum
(저희 구독자님들을 위한 약간의 혜택이 있으며 저희는 관련하여 수익을 얻지 않습니다.)
📝 최겸이 만들고 있는 것
👉 https://bit.ly/GyumBIO
① 다이어트 실전 가이드북 '스타일스맵 플레이북' (위의 링크에서 무료 다운 가능)
② 12주 생활 습관 플래너 '스타일스 다이어트 플래너'
③ 교보문고 다이어트분야 1위 다이어트 책 '다이어트 사이언스 2022'
④ 의사도 인정하는 건강 강의 '다이어트 사이언스 클래스'
⑤ 식단을 자유롭게 만들어줄 '제로또띠아' & '제로모닝빵' & '글루텐프리 쌀면'
⏰ Time Stamp
00:00 인트로
02:40 당뇨 관련 검사
04:46 심혈관 건강
09:15 갑상선 호르몬
11:38 테스토스테론
13:10 부신 호르몬
13:20 심박변이도 HRV
17:04 항산화 능력
18:35 유기산 대사 검사
22:15 장내 미생물
25:57 지연성 알러지(IgG)
28:44 쿠키 영상
35:50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