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Requiem from 'The Queen Symphony'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레퀴엠 from 더 퀸 심포니 (카쉬프) Requiem from ‘The Queen Symphony’ (T. Kashif) 바이올린 닐루파르 무히디노바 Violin Nilufar Mukhiddinova 첼로 박건우 Cello Gunwoo Park 지휘 임형섭 Conductor Hyungsup Lim 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Cham Philharmonic Orchestra 참 프로젝트 합창단 Cham Project Choir 2021년 10월 15일 롯데콘서트홀 —————————————————— *본 연주회는 작곡가 카쉬프의 The Queen Symphony 중 레퀴엠을 차용한 부분인 1, 3, 5, 6악장을 뽑아 4부로 만들어 연주하였다. Requiem from ‘The Queen Symphony’ Part 1(제1악장) -Recordare! 기억하라 -(Salva me, et libera me de morte aeterna.) (나를 구원하여 영원한 죽음에서 해방하소서) - Recordare! 기억하라 Part 2(제3악장) 추모 Part 3(제5악장) -Lacrimosa, dies illa 눈물의 날, 그 날 -Dies irae, dies illa 진노의 날, 그 날 -Mama! Misericordia, in dies illa 그 날에 자비를 Part 4(제6악장) -Dona nobis pacem, et eis requiem aeternam! 우리에게 평화를, 그리고 그들에게 영원한 안식을 -Vita aeterna, in paradisum lucis 영원한 삶, 빛의 낙원으로 —————————— 1부 : 기억 1악장은 우리 모두 과거를 잊지 말자는 선언이다. 오케스트라가 'Radio gaga'의 모티브로 (본래 이 곡은 음악시장에 티비가 들어온 무렵, 과거 라디오의 감성을 잊지 말자는 의도로 만들어 졌다) 과거를 회상하듯 잔잔히 시작하고, 합창이 'RECORDARE(기억하라)'를 노래한다. 그리고 그 정점에서 인간애를 'I was born to love you'의 모티브로 연주한다. 2부: 추모 3악장은 합창이 없다. 마치 묵념하듯 아무 말 없이 첼로 솔로로 시작하여 바이올린 솔로와 오케스트라가 'IN PARADISUM(낙원으로)'의 주제를 'Who wants to live forever'의 멜로디로 연주한다. 3부: 고백 - 책망 - 심판 - 탄원 - 용서 5악장은 'LACRIMOSA(눈물의 그날)'를 '보헤미안 랩소디'의 모티브로 시작한다. 아들의 무고한 죽음으로 한맺힌 어머니에게 한 남자가, '어머니, 내가 사람을 죽였어요'라고 고백한다. 환청처럼 '스카라무슈' 모티브가 시작되고 정신없이 사나와지며, 그는 온갖 비난과 책망에 시달린다. 이어 'DIES IRAE(분노의 그날)'가 'We will rock you'의 모티브로 나타나, 그를 심판하고 정죄한다. 그 때, 어디선가 어머니를 부르는 목소리가 들린다. 그들은 'MISERICORDIA(자비를 베푸소서)'를 합창하며 그 어머니에게 자비를 베풀어 달라고 탄원한다. 고뇌의 침묵이 흐르고, 결국 어머니는 여성합창의 입을 빌려 아무런 말없이 'We are the champions'의 모티브를 노래함으로써, 죄를 고백한 그를 용서한다. 4부: 화해 - 미래 6악장은 쉼없이 5악장에 이어서 계속된다. 이제 비로소 '우리'라는 말을 쓸 수 있게 되었다. 바이올린 솔로와 오케스트라에 이어 합창이 'DONA NOBIS PACEM(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를 부른다. 그리고 드디어 'VITA AETERNA(영원한 삶)'을 'Who wants to live forever'의 모티브로 노래하며, 죽음이 아닌 삶을, 함께 꿈꿀 수 있게 된다.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