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인터뷰/김경태 36)
“왜 싫을까? 젊은 세대의 입장으로 봤을 때는 싫다는 입장이 요즘은 더 강해지는 것 같아요. 이 나라의 어떤 미래가 젊은 사람들을 봤을 때 바로미터로 보인다고 생각을 하는데, 이 지금 20대들이 희망을 잃고 있다는 게 대한민국 미래에서 매우 큰 불안 요소가 아닌가.
이민을 구체적으로 뭐 알아본 적은 없어요. 하지만 기회가 되고 여건이 된다면 이민을 할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해요.”
(장강명 작가 인터뷰)
Q 책을 쓰게 된 동기
이 책을 쓸 때 이런 식으로 생각 하고 썼거든요. 처음에 뉴스사이트 댓글 같은 데서 아 한국 싫다 이민 가고 싶다. 이런 댓글 되게 많잖아요. 그래서 저는 그 문제에 기자처럼 접근 했던 것 같아요. 아, 이게 요즘 사회의 트랜드구나. 사회의 젊은 사람들의 정서구나. 그러면 이것을 가지고 소설을 써야겠다. 그럼 한국을 싫어하는 정서를 어떻게 소설로 쓰지? 이민 가는 사람으로 해야겠다. 제일 핵심이니까. 이민 가는 사람은 한국이 싫어서 가는 것이니까. 한국에서 젤 설움 받는 사람이 가는 거로 해야겠다. 근데 어느 정도 공감이 가야 하니까 이 사람이 되게 특수한 사람이라서 가는 게 아니라 너무나 평균적인 상황인데, 어떻게 보면 그 평균적인 상황 자체가 당사자들에게는 힘들고 그래서 못 살겠다 하고 나가는 딱 그런 선을 생각해보자. 그게 생각을 해보니 20대 여성, 아주 극빈층은 아니지만 저소득층 아주 고졸이라든지 차별받지 않지만, 그냥 어중간한 중위권 대학.
Q 독자에게 주고 싶은 메시지
저는 두 가지를 생각했는데요. 하나는 이제 좀 한국이 얼마나 살기에 팍팍한 곳인가 하는 것을 좀 보여주고 싶었어요. 사실은 늘 우리가 겪는 일인데 하도 자연스럽게 겪기 때문에 오히려 의식을 못 하는 문제들이에요.
출퇴근할 때 파김치가 되어 출퇴근하고 예비 시어머니 시부모 만나서 대학 어디 나왔니 이런 이야기 같은 거, 집에 모아 놓은 것은 얼마니 그런 것으로 가늠을 당하고 또 뭐 학벌 때문에 괜히 주눅을 들고.. 하도 자연스러우니까 의식을 못 하다가 그게 글자가 되어서 누군가가 이거 너무 부조리하지 않아? 하고 분통을 터트리는 그 사람의 이야기를 볼 때 아, 이게 분통이 터질만한 일이지. 부조리한 일이지. 여기 되게 부조리한 땅이지. 그런 것을 보여주고 싶은 의도가 하나였고요.
또 두 번째로는 부조리함이 있는 곳이라는 것과 상관없이 어쨌든 살아야 할 것 아닙니까? 내가 행복해 질수가 있는 환경을 찾아가서 나는 행복해지면 된다. 남들이 나보고 외국 병을 걸렸느니 뭐니, 거기 가면 너는 뭐도 없고 뭐도 없고 차별받을 것이라느니 그거 상관없이 그냥 내가 원하는 게 나는 날씨 따뜻한 나라에서 살고 싶다면 가서 살아보자…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