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모두가 내용'만' 알던 [변신] 완전판

너진똑 NJT BOOK 649,835 10 months ago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카프카 #변신 #그레고르 00:00 변신 소개 00:29 각색 파트 21:30 해설 시작 편집 : 너동부장관 (김엽) 디자인 : 너동부차관 (박혜진) 각색 보조 : 너동부국장 (김민정) 더빙 도움 : @seavoiceteam [참고 문헌] *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 꺽쇠 괄호 표기X 알베르 카뮈(김화영 옮김), 시지프신화, 빌헬름 엠리히(편영수 옮김), 프란츠 카프카 장혜순. (2008). 카프카의 시시포스와 연출된 자의식. 카프카연구, 19, 5-24. 신현숙. (2015). 군중과 기만. 카프카연구, 33, 91-123. 신현숙. (2009). 신화적 경험과 현실인식 : 엘리아스 카네티의 신화문학. 카프카연구, 21, 119-152. 박병덕. (1998). 『변신』에 나타난 서술기법과 산업사회 비판. 카프카연구, 6, 97-117. 편영수. (2010). 한국의 카프카 연구 50년. 현상과인식, 34(3), 137-152. 김충남. (2004). 카프카와 표현주의-변신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요소. 브레히트와 현대연극,(12), 0-0. 김윤섭. (1984). 카프카의 ‘변신’과 이상의 ‘날개’에 나타난 구심성과 원심성. 카프카연구, 1, 306-347. 권세훈. (1998). 카프카 작품 『변신』의 한국적 수용. 카프카연구, 6, 343-362. 김연수. (2003). 고전에서 만난 사람ㆍ카프카의 소설 〈변신〉 중, 그레고르 잠자 시계탑의 시계가 새벽 세 시를 칠 때. 월간 샘터, 34(01), 74-75. 목승숙. (2010). 카프카의 자연성에 대한 노스텔지아. 카프카연구, 23, 5-22. 고명섭. (2005). 고명섭의 인간 탐구 카프카, 존재의 감옥 변신의 욕망. 인물과사상,, 191-217. 김파, 구영민. (개최날짜). 카프카의 소설 ‘변신’ 에서 나타난 ‘소외’ 개념과 낯설게 하기를 통한 서울 구의 취수장 재생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개최지. 인성기. (2017). 소타자에 대한 대타자의 헤게모니 - 라캉의 눈으로 카프카의 『변신』 다시 읽기. 독일어문학, 25(1), 191-214. 김연수. (2017). 이론 발제 카프카의 「변신」에서 읽는 환상의 현실성. 공연과이론,, 9-14. 이은희. (2018).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불꽃(花火)과 카프카 『변신』과의 비교연구. 일본어문학,(82), 411-434. 이예은. (2018). 포스트휴머니즘 연극에 드러난 실존적 인간의 인식 변화 -프란츠 카프카 원작, 히라타 오리자 각색/연출, 로봇 연극 변신을 중심으로. 연극교육연구, 33(33), 269-293. 권세훈. (2021). 악몽의 일상화 -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과 편혜영의 홀 비교연구. 독일언어문학,(91), 165-180. 박은주. (2012). ‘피부’: 문화적 기호와 육체성이 교차하는 경계면 - 카프카의 「변신」과 「유형지에서」 분석. 독일현대문학,(38), 25-54. 피종호. (2013). 라캉의 응시이론과 재현의 전복. 카프카연구, 29, 187-209. 조현천. (2019). 카프카의 변신과 쥐스킨트의 비둘기에 나타난 불안의 문제. 독일어문학, 27(4), 77-95. 신지영. (2012). 카프카의 동물이야기에 나타나는 “인간화 기계”. 카프카연구, 28, 47-72. 이유선. (2011). 카프카의 현실적 시공간으로서 여행일기. 카프카연구, 26, 5-26. 한석종. (1984). 카프카 문학 세계의 사회학적 분석. 카프카연구, 1, 11-49. 박범서. (1984). 카프카의 ‘변신’ 연구. 카프카연구, 1, 116-133. 홍경호. (1987). 카프카의 〈변신〉 연구. 카프카연구, 2, 234-253. 김정숙. (1987). 카프카의 〈변신〉에 관한 고찰. 카프카연구, 2, 61-75. 한일섭. (1988). 카프카 소설 〈변신〉의 분석. 카프카연구, 3, 92-125. 김천혜. (1984). ‘변신’의 구조와 해석. 카프카연구, 1, 87-103. 권혁준. (2006).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신화적 계기들. 카프카연구, 16, 5-30. 오현일. (1987). 카프카의 단편 〈변신〉의 해석 시도. 카프카연구, 2, 111-130. 신혜양. (2004). 환상문학으로 본 카프카의 변신. 브레히트와 현대연극,(12), 0-0. 이성훈. (2002). 반동화 : 카프카의 「변신」. 카프카연구, 10, 123-137. 김미영. (2009). 현대소설에 나타난 변신 모티프와 환상. 문학교육학,(30), 67-93. 배정희. (2004). 매체의 관점에서 본 카프카의 텍스트. 카프카연구, 11, 63-78. 신태수. (1999). 변신 모티프 소설의 양상과 존재론적 성격. 국어국문학, 125, 251-277. 조두환. (2005). 가족, 속박의 울타리인가?. 통일인문학, 43, 1-21. 김화임, Hwa Im. (2010). 카프카의 변신 Die Verwandlung』을 통해 본 ‘소수적’ 글쓰기-들뢰즈와 가타리의 카프카. 소수문학을 위하여 Kafka. Für eine kleine Literatur를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22), 139-160. 김래현. (2007).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에 있어서의 실험. 카프카연구, 18, 5-29. 목승숙. (2015). 카프카의 변신과 유대 유머. 카프카연구, 34, 55-73. 조현천. (2012).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불안의 미학. 세계문학비교연구,(39), 61-83. 권혁준. (2014). 카프카 텍스트에서의 타자의 형상화. 카프카연구, 32, 49-77. 최순종. (2023). 최상규의 새벽기행과 카프카의 변신 비교 연구 ― 변신 모티프의 개연성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35), 95-118. 김태환. (2006). 모험적 시간과 일상적 시간. 카프카연구, 15, 5-25. 이민용. (2004). 몸의 해체와 현대문학-프란츠 카프카의 작품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31, 359-383. 남춘길. (1997).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새가정,, 104-105. 박환덕. (1992). 프란츠 카프카의 문학과 생애. 외국문학,(33), 334-351. 송성회. (2014). 생태학으로 문학읽기 -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독일어문학, 22(4), 175-194. 함규진. (2014). 프란츠 카프카 : 악몽에 갇힌 방랑자, 침묵으로 외치다. 인물과사상,, 121-133. 김지나. (2016). 문학읽기 《변신》 프란츠 카프카. 유레카,(393), 64-67. 임춘택, 이경택. (2020). 국내 프란츠 카프카 변신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Ⅰ. 독일어문학, 28(3), 165-185. 김은실, 임춘택. (2022). 국내 프란츠 카프카 변신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ΙΙΙ - 빈도수, 의미연결망, 중심성, 구조적 등위 분석을 활용하여. 독어교육, 83(83), 33-52. 정윤희. (2013). 잠재성의 소유자들과 시대를 향한 전언. 카프카연구, 30, 79-102. 정항균. (2022). “기뻐하라, 환자들아. 의사가 너희 침대에 눕혀져 있으니” - 카프카의 시골의사에 나타난 생성에의 욕망과 모계사회의 질서.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63(2), 339-367. 이서규. (2014).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실존개념연구. 범한철학, 75(4), 369-399. 장희권. (2019). 회사원 이야기의 원형(原型)으로서의 카프카의 「변신」.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60(3), 65-87. 정항균. (2022).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가모장적 질서와 아이-되기. 독일현대문학,(59), 75-107. 정성욱. (2023). ‘Verwandlung’의 세계와 ‘변신’의 세계 - 가능세계이론을 바탕으로 한 카프카의 변신 번역비 평.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64(1), 89-121, 10.31064/kogerm.2023.64.1.89 편영수. (2014). 카프카 문학에 나타난 권력의 메커니즘. 사회이론,(45), 63-76.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