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Fun & Interesting

행성 X(엑스) / 태양계 외곽 - 카이퍼 벨트, 산란분포대, 분리천체, 오르트 구름

우주아저씨 1,087,630 3 years ago
Video Not Working? Fix It Now

. . . 행성 X란 해왕성보다 멀리 떨어져있고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보통 행성의 크기인 가상의 천체이다. 행성 X가 존재한다는 설은,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 운동이 이론과 잘 맞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나오게 되었고, 9번째 행성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그리고 1930년 명왕성의 발견 이후엔 열 번째 행성으로 주장되어 왔다. 이 궤도 운동의 문제점은 대부분이 관측을 통해 많이 해결되었으나, 20세기 말 이후에 태양계 외곽에서 다수의 천체들이 발견되어 그 분포를 설명할 근거로 또다시 행성 X의 존재를 가정하는 설이 나오고 있습니다. 명왕성은 행성 X의 탐색 과정에서 발견된 천체였으나, 연구자들이 찾던 행성 X는 아니었습니다. 앞으로 행성 크기의 천체가 발견되더라도 국제천문연맹 의 결의에 맞추어 행성으로 인정될지는 불분명하며, 왜소행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음은 행성X 존재의 반대 입장입니다. 우주탐사선 파이오니어 10, 11호, 그리고 보이저 1, 2호에 의해 행성 X의 존재는 두 가지 면에서 부정되고 있습니다. 첫째로 이들 탐사선이 태양계 외곽행성의 근처를 통과할 때 행성으로부터 받는 중력에 의한 가속도를 보아, 이들 행성의 정확한 질량이 산출되었는데, 이것은 지상 관측에 의해 계산된 값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둘째로 이들 우주탐사선의 궤도를 보면 아직 발견되지 않은 거대한 천체의 영향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이 사실로 미루어 많은 천문학자들은 행성 X의 존재는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천체의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는 검출되지 않고, 외곽 행성의 궤도에도 눈에 띄는 영향을 주진 않기 때문에 지구와 비슷한 질량을 가진 천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습니다. . . . 참고: https://www.youtube.com/channel/UCmHof0uMcf-KZOZfxmbRrOw/about?view_as=subscriber Image Source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uiper_belt_plot_objects_of_outer_solar_system.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Varuna_artistic.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nimation_of_Pluto_orbit.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2006-16-a-full-1-.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rtist%27s_impression_dwarf_planet_Eris.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Haumea_rotation_with_ring.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edna_orbit.svg [email protected] #카이퍼벨트#우주다큐

Comment